호남정맥(53)
-
[호남정맥 04-01 묵방산(538m)](61차)
■호남정맥 (61/61)■일시 : 2025.5.24(토) ★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61)[[총 400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 ■[04-01]묵방산▪︎먹은 소나무 가지나 뿌리를 태워서 그을음을 채취하여 만들기 때문에 산기슭이나 산속에 먹방이 있는 경우가 있다. 묵방산(墨方山)의 유래를 먹방이 있었다는 것에 두는 경우가 있지만 산외면 묵방산에 먹을 만드는 먹방이 있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대동지지(大東地志)와 『여지고(輿地考)』에 “묵방산은 동남쪽 45리[약 18㎞]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출처]향토문화전..
2025.05.26 -
[호남정맥 02-02 경각산(660m)](60차)
■호남정맥 (60 / 61)■일시 : 2025.5.24 (토) ★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60)[[399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 ■경각산(659m)은 서쪽 물줄기는 구이 저수지와 삼천을 통하여 만경강 수계로, 동쪽은 옥정호를 통하여 섬진강 수계로 각각 유입된다. 지명은 산 아래의 광곡마을에서 바라보면 모악산 방향으로 머리를 향한 고래의 모습이며, 정상에 있는 두 개의 바위가 마치 고래의 등에 솟아난 뿔과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임실 경각산(敬覺山)은 전라북도 임실군과 장수군 경계에 위치한 산.▪︎불교..
2025.05.26 -
[호남정맥 01-01 주화산(563m)](59차)
■호남정맥 (59/100)■일시 : 2025.5.18(일) ★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59)[[총398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 ■주화산 (563m)[명칭 유래]예전에는 이름이 없었으나, 2000년대 이후 산악인들이 주화산(珠華山)이라 이름 지었다.[자연환경]주화산(조약봉)을 백두 대간의 영취산에서 시작한 금남 호남 정맥의 마지막 지점으로 상정 하고, 이를 기점으로 북쪽으로 금남 정맥, 남쪽으로 호남 정맥의 기점으로 삼고 있다. 이 부근을 기점으로 금강[정자천], 섬진강[부귀천], 만경강[완주군 소양면 소양천] 등..
2025.05.22 -
[호남정맥 01-02 만덕산 (763m)](58차)
■호남정맥 (58/100)■일시 : 2025.5.18(일) ★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58)[[총397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 ■만덕산 [01-02]만덕산▪︎완주 만덕산(萬德山)은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과 고산면 경계에 위치한 해발 약 783미터의 산으로, 이름에는 ‘많은 덕이 있는 산’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지명 유래: ‘만덕(萬德)’이라는 이름은 불교적 색채가 짙은 이름으로, 산의 기운이 널리 퍼져 많은 복과 덕을 주는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 지역 사람들은 만덕산을 ‘덕을 베푸..
2025.05.22 -
[호남정맥 06-03 백학송 전망대(704m)](57차)
■호남정맥 (57/100)■일시 : 2025.5.11(일)★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57)[[총396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구암사 구암사(龜巖寺)는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도집산(都集山)에 있는 사찰이다.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숭제가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1392년(태조 1)에 각운(覺雲)이 절을 고쳐 짓고, 구암사라 이름을 바꾸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어 전란 이후에 다시 지었다.[출처:https://naver.me/Gfb0h5Eg]■구암사 주차장..
2025.05.14 -
[호남정맥 연자봉 06-02(675m)](56차)
■호남정맥 (56/100)■일시 : 2025.5.11(일)★블랙야크 명산100 완등 (100개) ★블랙야크 명산100플러스 (104개)★명산100-어게인(33)★명산100플러스-어게인(1)★섬&산100(91)★블랙야크명산100플러스-추가(10)★호남정맥(56)[[총395차]] #걷고_오르고_나를_담다_行登納我■연자봉 정읍 내장산의 봉우리 중의 하나이다. 이곳에 제비 명당이 있다고 하여 연자봉이라고 하였다. 풍수지리상 연자봉을 중심으로 장군봉과 신선봉이 있는 모습이 마치 날개를 펼친 제비모습과 흡사하여 붙여졌다고 전해진다.*연자봉에서 1.1㎞ 정도 더 가면 최고봉 신성봉을 갈 수 있다.■케이블카 하단 주변에 주차하고, 내장사 탐방.1.들머리■내장산케이블카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179-11 내장..
2025.05.14